산행자료/산행기념 발자국

수원 광교산, 의왕 백운산 산행기념

산사랑 55 2016. 1. 19. 12:24

 

■  산행 일시 : 2016.01.12

■  산행지 : 수원 광교산 의왕 백운산

■   산행코스 : 상광교버스종점- 토끼재- 광교산(시루봉) - 통신대 - 백운산- 통신대

                     상광교 버스 종점

■  수원 광교산 소개

경기도 수원시의 장안구 상광교동에 위치한 산이다(고도:582m).

한남 금북 정맥의 주봉으로서 그 산자락이 수원 · 성남 · 용인 · 의왕시에 걸쳐 있습니다.

최고봉인 시루봉(582m)을 중심으로 북서쪽에는 백운산(566m), 남쪽으로는 형제봉(448m)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수원시 영역 내에서는 이의 동 · 상광교동 · 하광교동 등에 걸쳐 광교산이 자리

하고 있습니다.

수원군읍지"(광교산은) 일명 광악(光嶽)이라고도 합니다.

야사에 고려때 산에서 기운이 하늘에 뻗쳐 이를 부처의 혼령이라고 해서 불교를

취하여 광교(光敎)라고 산 이름을 짓게 된 것이라

 

광교산(光敎山)은 예전부터 수원의 진산으로 불려온 명산이다. 이는 주위에 별다른 산이 없는 까닭도 있지만 그보다는 수원시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즐길 수 있는 산이기 때문이다. 광교산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대중(大衆)의 산이란 점은 주말이나 휴일에 이 산에 올라보면 누구나 쉽게 느낄 수 있다.

 

수도권 주말 명산으로 꼽혀

명산의 한 시즌이나 서울 근교의 산 못지않게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수원시청에서는 이 많은 산행 객들을 위해 토요일 오후와 일요일 및 휴일에 경기대 입구 광교저수지 둑에서 상광교동 윗말 종점까지 왕복버스를 운행한다. 또한 산길도 잘 가꾸어 놓았고 곳곳마다 자세한 안내판을 세워 놓았다. 특히 정상인 비로봉에는 정자도 지어 놓았다.

능선 길에는 소월의 시등 명시는 물론, 광교산을 주제로 한 시들을 산 곳곳에 게시한 점도 다른 산에서는 볼 수 없는 색다른 점이다. 광교산(582m)의 동쪽 줄기는 성남을 지나 청계산으로 이어지고 북으론 백운산을 거쳐 광주의 고분현()에 닿는다. 광교산의 주봉은 시루봉으로 맑은 날이면 동쪽으로 여주와 이천까지 보이고 서쪽으론 서해 오도가 눈을 맑게 한다. 남쪽으로는 평택과 안성, 북쪽으로는 북한산이 솟아 있다. 광교산 아래에는 녹색의 광교저수지와 파장저수지가 있어 산과 조화를 이룬다.

 

광교산은 산행이 버겁지 않고 느긋하게 즐길 수 있는 산이지만 시루봉과 형제봉 오름은 가파른 길이라 만만하게 볼 수도 없는 곳이다. 또한 안내판과 시설물을 잘 정돈해 놓았고 수원시의 보살핌이 각별한 점도 광교산을 찾게 되는 이유라 하겠다. 광교산은 원래 광악산(光嶽山)이라고 했다. 928년 고려 태조 왕건은 후백제의 견훤을 치고 돌아가다 이 산 기슭에서 머물렀다고 한다. 그 때 이 산에서 빛이 솟아올라 태조 왕건에게 가르침을 주었다고 하며 이후로 광교산(부처님의 가르침을 주는 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한때 광교산에는 창성사를 비롯해서 89개의 절과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수원군읍지에 의하면 광교산에는 89개의 절과 암자를 비롯해 고려궁터, 고려하창, 종루, 문바위, 우평, 백제행전, 정자산 옛 우물, 김준룡장군 전승지 등이 있었다.

 

수원시는 광교산에 여섯 개의 등산길을 정비해 놓았다.

첫 번째가 경기대를 기점으로 형제봉~시루봉~통신대~지지대를 잇는 주능선 상의 17킬로미터 코스다.

두 번째는 문암골을 거쳐 백년약수터~백년수 정상~형제봉에 닿는 짧은 코스다.

   세 번째 길은 하광교 저수지를 들머리로 해서 양지농원을 거쳐 주능선 상의 양지재에서는 길이다.

네 번째는 상광교 버스종점을 기점으로 사방 댐-절터약수터를 거쳐 주능선 상의 억새밭에 오르는 길이다.

다섯 번째는 상광교 버스종점에서 출발해 사방 댐-노루목-시루봉에 오르는 길이다.

여섯 번째는 상광교 버스종점에서 사방 댐~토끼재~시루봉~형제봉을 거쳐 경기대학으로 하산하는 코스다. 광교산 산행은 위의 길들을 형편대로 잇고 버리고 해서 산행을 마치면 된다.

 

 

■ 수원 광교산 (등산)산행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