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자료/아름다운 경남,부산

15 .함양 .장수 백운산 산행지도

by 산사랑 55 2018. 11. 16.



15 .함양 ,장수 백운산 산행지도

■ 함양 백운산 :   백운산(白雲山 1,278.6m)

   전남 광양의 백운산(1,218m), 경기도 포천군에 있는 백운산(904m), 강원도 홍천군에 있는 백운산(895m) 등 30여개의 백운산이란 이름을 쓰는 산 중에서 정선의 백운산(마천봉 1,426.2m) 다음으로 높은 산이다.

산의 이름이 말해주듯이 항상 산봉우리를 휘어 감고 있는 아름다운 운무(雲霧)의 비경을 자랑하며, 주변의 자연경관이 뛰어나서 그 지역의 대표적인 산이라 할 수 있다. 정상에 올라서면 서쪽에 장안산과 괘관산, 북쪽에 깃대봉과 남덕유산, 남쪽으로 월경산, 봉화산 등이 조망되고, 노고단에서 천왕봉까지 45km에 이르는 지리산 연봉과 북덕유에서 남덕유까지 20여km가 이어지는 덕유연봉의 백두대간 줄기가 훤히 조망된다.

백운산 산행 코스는 산자락 남쪽인 함양군 백전면 백운리와 운산리, 북서쪽 장계면과 번암면 경계인 무룡고개 방면에서 오르내리는 코스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백운리에서는 대방마을을 기점으로 빼빼재~서래봉 남동릉, 백운암~화과원~서래봉 남동릉, 화과원 갈림길~큰골, 묵계암~상연대~끝봉~남릉을 경유해 정상으로 오르는 코스가 인기 있다.

운산리에서는 백두대간 방면으로 끝 마을인 중기마을~중고개재~남서릉(백두대간)을 경유하는 코스가 있다. 번암면 지지리에서는 삼거리마을~산죽계곡~중고개재~남서릉 또는 삼거리마을~무룡고개~영취산~북서릉(백두대간) 코스가 이용된다. 장계면 방면은 대곡리 지승마을을 기점으로 무룡고개~영취산~북서릉을 경유하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출처: http://mtno1.tistory.com/181 [아름다운 산하]


■ 함양 백운산 산행지도(함양 백운산 등산지도)


☞ 영취산(靈鷲山) 1075.6m

 영취산은 백두대간종주코스 지도에는 표시되지만 웬만한 지도에 표시되지않는다. 영취산(1075.6m)은 백두 대간에서 금남호남정맥 분기점으로 함양의 진산인 백운산에서 백두대간이 육십령으로 북상하는 도중에 거치는 산이다. 영취산 정상에는 정상표지목이 있고 사위조망은 북으로 남덕유산이, 서쪽으로 장안산이, 남으로 백운산이 조망된다.

영취산은 신령령(靈), 독수리취(鷲)를 쓰고 있다. 영취산은 고대 인도 마갈타국(摩竭陀國)의 왕사성(王舍城)의 북동쪽에 있는 산으로서 석가가 이곳에서 법화경과 무량수경(無量壽經)을 설법했다고 한다. 영취산를 준말로 영산, 또는 취산으로 부르고 있는데, 그 뜻은 산세가 '빼어나다', '신묘하다', 신령스럽다'는 뜻으로서 산줄기와 물줄기의 요충지로서의 걸맞는 이름이라 할 수 있다.

☞백운산(白雲山) 1,278.6m

백운이라는 이름을 가진 산이 많다.그 중에서"흰구름 산"이라는 이름값을 제대로 하는 산이 바로 함양의 백운이다.높이도 1,000m가 훨씬 넘는 준봉인데다 산정에서의 조망도 으뜸이다.남도의 내노라하는 명산들이 동서남북 어떤 방향에서든 거칠 것 없이 한눈에 들어온다. 노고단에서 천왕봉까지,남쪽에 하늘금을 그은 지리산의 파노라마는 그리움의 경지를 넘어 차라리 연민   이다. 반야봉의 자태는 너무 뚜렷해 민망스럽기까지 하다.북쪽 끄트머리에는 넉넉한 덕유산이 태평스레 앉아 있고 그 너머에 황석, 기망, 월봉산이 줄기를 뻗대고 있다.금원 기백도 가까이 보이고 동북 방향 멀리로는 수도,가야,황매산도 가물거린다. 양쪽날개인양 백운산과 맥을 같이한 동쪽의 갓걸이산(괘관산)과 가을 억새가 멋진 장수군의 장안산이 서쪽에서 마주보고 있다.이렇듯 백운산은 명산에 둘러싸여 명산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이 지방 최고의 진산이다. 겹겹이 둘러싼 능파들 사이사이로 흰구름이 부리는 조화는 백운산만이 연출해 낼 수 있는 활동사진. 산세 또한 전형적인 육산이기에 사계절 내내 산행이 가능한 것이 이 산의 매력이다. 



■ 함양 백운산 , 영취산 산행지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