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무등산
■ 광주 무등산 : 광주광역시 동구 , 1187m
무등산은 전체적인 산세는 산줄기와 골짜기가 뚜렷하지 않고 마치 커다란 둔덕과 같은 홑산이다.
무등산의 특징은 너덜지대인데 천왕봉 남쪽의 지공너덜과 증심사 동쪽의 덕산너덜은 다른 산에서는 볼 수 없는 경관이다.
무등산은 완만한 산세로 대부분이 흙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태만상의 암석들이 정상인 천왕봉을 중심으로 널려 있어 그 웅장함으로 인하여 도민의 신앙대상이 되어온 신산으로 알려 졌다. 특히 서석대, 입석대, 규봉의 암석미는 대단하다.
무등산의 삼대 절경인 입석대, 서석대, 광석대를 일컬어 무등산 삼대석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봄의 철쭉, 여름의 산목련, 가을의 단풍과 겨울의 설경등 변화가 많은 자연경관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1972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3월 4일 국립공원 제21호로 지정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은 전체면적 75.425㎢로 광주광역시(북구, 동구)와 전라남도(담양·화순군)에 위치하고 있다.
무등산에는 증심사, 원효사, 약사암, 규봉암 등의 사찰과 산의 북쪽 기슭인 충효동에 환벽당과 식영정, 소쇄원 누정 등의 유적이 있다.
인기명산 [41위:한국의산하]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무등산은 광주, 전남 도시민의 휴식처이자 사계절 산행지이다.
10-11월의 억새와 단풍 테마산행으로 많이 찾고, 이른 봄 봄맞이 산행지로 인기 있다.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최고봉인 천왕봉 가까이에는 원기둥 모양의 절리(節理)가 발달하여 기암괴석의 경치가 뛰어나고, 도시민의 휴식처이며, 도립공원으로 지정(1972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보물 제131호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는 증심사(證心寺)와 원효사(元曉寺)가 유명하다
등산코스
무등산장-꼬막재-규봉암-장불재-중머리재-백운암터-늦재샘터-공원관리사무소(5시간 30분)
무등산장-꼬막재-시무지기폭포-규봉암-지공너덜-석불암-장불재-중봉-동화사터-늦재-산장주차장
증심교-토끼등-동화사터-중봉-장불재-백마능선-장불재-중머리재-증심사
증심교-증심사-약사사-새인봉-줌어리재-장불대-입석대-규봉암-장불재-입석대-서석대-증심교
증심사 제2주차장-증심교 삼거리-토끼등(15:14)- 동화사터-중봉-서석대-입석대-장불재-중머리재 -새인봉 삼거리-새인봉-증심사 제2주차장(6시간)
증심사 코스
증심사 집단시설지구(제1수원지 앞) 출발지점은 광주시 운림동에 위치한다.
이곳 등산코스들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자기 능력에 맞는 코스를 택하여 산행할 수 있다.
이 출발지점은 광주도심에서 불과 4km이내의 거리로 가장 접근이 용이한 곳이기에 마치 무등산의 관문처럼 인식되어 있다.
등산객이 쉽게 즐겨찾는 이곳은 교통이 편리하고, 가까우면서 다양한 코스가 있어 남녀 노소 뿐만 아니라 가족단위 등산도 많다.
특히 요즈음에는 외지 등산객이 차츰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향락철에는 무등산 등산 인구의 3분의 2이상이 이곳으로 몰려들어 주말이나 휴일에는 이 코스 진입에 어려움이 있다.
더구나 진입로에 예식장등이 있어 교통난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외지서 오는 단체 등산객들은 무등산공원관리사무소와 사전에 연락한 다음, 정보를 얻으면 산행하는데 도움이 된다.
■ 무등산 등산지도
'산행자료 > 아름다운 전남 전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 순천 조계산 (0) | 2019.08.27 |
---|---|
18. 화순 모후산 (0) | 2019.08.27 |
16. 곡성 설산 (0) | 2019.08.27 |
15. 곡성 동악산 (0) | 2019.08.27 |
14. 화순 백아산 (0) | 2019.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