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시 : 2021.11.01 (월요일)
■ 산행지 : 가야산 만물상
■ 산행코스 : 백운동 탐방센터- 만물상코스 - 상아덤 - 서성재 - 칠불봉- 우두봉(상황몽)\
칠불봉 - 서성재- 용기골곡- 백운동 탐방센터
■ 가야산 : 경남 합천군 가야면, 경북 성주군 수륜면/가천면 가야산(伽倻山). 상황봉(象王峯;1430m),
칠불봉 (七佛峰;1432m)
■ 가야산 : 웅장하면서도 수려한 산세와 해인사를 비롯한 많은 유물·유적들이 조화를 이루어, 예로부터 '대한팔경'과 '12대 명산'의 하나로 꼽혔다.
산 일대가 1972년 10월 가야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총면적은 57.8㎢이다.
산 입구에서 해인사까지 약 4km에 이르는 홍류동계곡은 가야천을 이루는 계곡이다.
폭포를 이루는 절벽, 맑은 물, 울창한 소나무숲과 진달래·철쭉·단풍 등이 어우러져 사계절 모두 독특한 경관을 이룬다.
가야산을 오르는 대표적인 코스는 해인사와 백운동 탐방지원센터에서 오른다
백운동 탐방지원센터에서는 만물상 코스와 용기골코스가 있다.
만물상 코스는 어렵고 힘든 코스이지만 경치가 좋으며 용기골 코스는 완만하고 오르기 쉽지만 경치가 만물상 코스만 못하다.
■ 가야산 만물상 등반 예약 : 만물상 코스는 미리 인터엣으로 예약을 하여야 하며 당일 현장에서도 티켓 구입이 가능하다
■ 가야산 만물상
가야산 만물상 코스는, 「해동 제일의 명산」, 「조선 팔경 중의 하나」, 「6가야의 시조산」이란 별칭을 갖고 있는 국립공원 가야산(伽倻山·1430m)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산행 코스로 알려져 있는데, 경남 합천군과 거창군, 경북 성주군에 걸쳐 있는 가야산 국립공원 중 성주군에 속해 있는 코스로, 지난 1972년 가야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부터 출입이 통제되어 오다가, 성주군이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코스 개방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결과 출입이 통제된 지 38년 만인 지난 2010년 6월 전격 일반에게 공개된 등산 코스이다.
가야산 만물상은 금강산 만물상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수려한 풍광 면에서 별로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상아덤(서장대)에서 만물상 능선을 바라보면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명인 겸재 정선이 그린 '금강전도'에 버금가는 멋진 풍광을 선사해 준다.
■ 산행지도
가야산 등산지도 1
가야산 등산지도 2
가야산 등산 지도 3
가야산 등산지도 4
■ 산행기념사진
등산로 입구에 있는 등산 안내도
만물상 초입 -
산행중 올려다 본 오봉 방향--
올라가야 할 방향 ---
올라가야할 방향 ---
산행 맞은편 오봉 방향 --
만물상 풍경 ---
산행중 뒤돌아 본 길
만물상 코스에서 본 가야산 칠불봉과 우두봉 ---
맨 끝 봉우리가 상아덤 --
산행중 당겨본 가야산 정상 봉우리들 --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보니 경치가 정말 멋지다 ---
지나온 길이 과연 만물상 답다 ---
상아덤 ---
상아덤에서 정상쪽으로 ---
상아덤에서 본 지나 온 길 --
서성재 삼거리 이정표 ---
정상을 오르다 내려다 본 해인사 전경 ---미세먼지로 희미하다,
칠불봉 정상 ---
칠불봉 정상 ---
칠붕봉 정상에서 본 만물상 코스와 오봉산 방향---
칠불봉에서 당겨본 우두봉 (상황봉)
칠불봉 전망대에서 본 칠불봉 정상의 모습 ---
우두봉정상에서 ---
우두봉에서 본 칠불봉 정상
우두봉정상의 우비정 --
우두봉에서 해인사방향 ---
하산중 용기골 단풍 ---
하산중 용기골 단풍---
하산중 용기골 단풍---
하산중 용기골 단풍 ---
하산중 용기골 단풍----
하산중 용기골 단풍---
하산중 용기골 단풍 ---
'산행자료 > 산행기념 발자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1.06 .천황산 (0) | 2021.11.06 |
---|---|
2021.11.04. 거창 우두산 (0) | 2021.11.04 |
2021.10.30. 재약산의 가을 (0) | 2021.10.30 |
2021.삼척 덕항산, 환선봉 (0) | 2021.10.26 |
2021.10.25. 천불동 계곡 (0) | 2021.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