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자료/산행기념 발자국

2021. 11.11. 우포늪 생태길 트레킹

by 산사랑 55 2021. 11. 11.

■ 창녕 우포늪생태 탐방 코스 트래킹

■ 일 시 : 2020. 11. 16 (월요일)

■ 함께한 사람들 : 나홀로 탐방

■ 탐방 코스 : 트레킹 코스 : 우포생태관 출발 (10 : 10분)-대대제방-주메제방-탐방로2길-소목마을~숲탐방로3길-

                   제2 전망대 - 목포제방-징검다리 -쪽지벌- 산밖벌 - 출렁다리 - 우포생태관

                  (12 : 40분 도착-휴식 없이 원점트래킹 9.7km . 2 : 30분)

■ 우포늪

    우포늪은 우리나라 최대의 자연늪지이다. ‘늪’이라고 하면 가장 규모가 큰 우포늪뿐만 아니라 목포, 사지포, 쪽지벌 등 네 개의 늪을 모두 아우른다. 이 늪지대는 경남 창녕군의 유어·이방·대합면 등 3개면에 걸쳐 있는데, 둘레는 7.5㎞에 전체면적은 2,314,060m²에 이른다. 이곳에 늪지가 처음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1억 4,000만 년전이라고 한다. 공룡시대였던 중생기 백악기 당시에 해수면이 급격히 상승하고 낙동강 유역의 지반이 내려앉았다. 그러자 이 일대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들던 물이 고이게 되면서 곳곳에 늪지와 자연호수가 생겨났고, 새로 생긴 호수와 늪은 당시 지구의 주인이던 공룡들의 놀이터가 되었다. 현재 우포늪 인근의 유어면 세진리에는 그 당시 것으로 추정되는 공?疫像未믄?석이 남아있다.
우포늪은 아무리 깊어도 사람의 온몸이 잠기는 데가 거의 없다. 장마철에는 수심이 5m에 이르기도 하지만 평소에는 1~2m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늪의 바닥에는 수천만 년 전부터 숱한 생명체들이 생멸을 거듭한 끝에 쌓인 부식층이 두터워서 개펄처럼 발이 푹푹 빠지지도 않는다. 억겁을 세월을 간직한 이 부식층이 있기에 우포늪은 '생태계의 고문서', 또는 '살아있는 자연사박물관'이라고 불린다.
일제강점기까지만 해도 우포늪 주변에는 가항늪·팔락늪·학암벌 등 10개의 늪이 더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무분별한 개발과 농경지의 잠식으로 인해 모두 사라져 버렸다. 우포늪도 한때는 커다란 위기에 빠졌었다. 지난 1960년대 초에 백조도래지(천연기념물 제15호)로 지정됐다가 급격한 개발로 인해, 백조 수가 급감하자 천연기념물 지정이 취소된 것이다. 그 뒤 이곳에 개발의 광풍이 거세게 불기도 했다. 다행히도 오늘날의 우포늪은 나날이 안정을 되찾고 있다. 특히 ‘생태계 보호지역’(1997년)과 ‘람사조약’에 의한 국제보호습지(1998년)로 지정된 이후로는 예전의 생태계가 빠르게 되살아나고 있다.
우포늪은 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자연환경보전법 적용을 받고 있어 낚시, 논우렁 채취 등을 금지하고 있으며 위반시에는 처벌을 받게 된다. 자연생태계의 보고인 우포늪을 지키기 위해 다함께 노력해야 한다. 현재 우포늪 일대에는 430여 종의 식물이 분포한다. 우리나라 전체 식물종류의 10%에 해당된다. 그중에서 수생식물의 종류는 우리나라 전체의 50~60%를 차지한다. 이곳의 수생 생태계가 그만큼 건강하다는 증표이다.

원시적 저층늪이 그대로 간직된 우포늪 70여만평에 이르는 천연 늪속에는 희귀동식물이 서식하며 동식물의 천국을 이루고 있습니다. 우포늪은 국내 최대 규모로, 천연의 자연경관을

간직하고 있어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 트레킹 기념 사진

  

탐방로 입구 첫번째 이정표 ---

 

대대제방길---

 

 

대대제방에서 본 우포늪 풍경 ---

 

 

사지포 제방 갈림길 ---

 

 

 

 

 

 

사지포 제방 안내판---

 

소목마을 이정표 ---

 

 

 

 

 

 

제 2 전망대에서 본 우포늪---

 

 

제 2 전망대 --

 

목포제방 길 ---

 

목포 제방길에서 본 풍경 ---

 

 

목포 제방길에서 ---

 

 

징검다리에서 ---

 

징검다리 ---

 

 

징검다리에서 ---

 

 

징검다리에서 ---

 

 

쪽지벌 입구 산밖벌 안내도 ----

 

 

쪽지벌 풍경 ---

 

현위치 쪽지벌 ---

 

 

쪽지벌 ---

 

 

 

 

 

 

쪽지벌 ---

 

출렁다리---

 

 

 

 

 

출렁다리 ---

 

산밖벌 복원 습지 ---

 

 

 

산밖벌 복원 습지 ㅈ--

'산행자료 > 산행기념 발자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1.16. 부산 백양산  (0) 2021.11.16
2021.11.13. 재약산의 만추  (0) 2021.11.13
2021.11.09. 주남저수지 둘레길  (0) 2021.11.09
2021.11.06 .천황산  (0) 2021.11.06
2021.11.04. 거창 우두산  (0) 2021.11.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