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일시 : 2016. 11 20 (일요일)
■ 산행지 : 부산 금정산
■ 함께한 사람들 : 산을 사랑하는 사람들
■ 산행코스 : 범어사 휴게소- 청련암- 내원암- 사배고개- 장군봉 갈림길- 마애여래입상
- 암봉- 개뼉다귀 바위- 고담봉- 북문- 범어사
■ 금정산 산행지 소개
금정산(金井山 801.5m)은 부산시의 동래온천 북쪽 4km되는 곳에 있으며, 일부는 경남 양산군에 속해 있다. 산 위에는 조선 숙종 29년에 쌓은 둘레 18,45km의 산성이 일부 남아 있으며, 양산 방면에는 범어사가 있다. 금정산은 최고봉인 고당봉을 주봉으로 북쪽으로는 계명봉과 장군봉이 솟아 있고, 남쪽으로는 원효봉, 의상봉, 대륙봉, 상계봉 등 해발 600여m 안팎의 봉우리를 거느린 능선으로 이어져 있다.
낙동강(洛東江)과 수영강(水營江)의 분수계(分水界)인 금정산은 해발 고도래야 800m를 겨우 넘는다. 그러나 바다 가까이 솟아 있어 상대적으로 높아 보이는 데다 화강암층의 기암괴석과 수려한 산봉, 다양한 산세의 골짜기, 유서 깊은 산성과 고찰 등 큰 산이 갖출 덕목을 고루 보유했다. 또한 한반도의 근간을 이룬 산줄기 중 하나인 낙동정맥 최남단에 주산으로서 기운차게 솟아 있으니 내륙의 1500m급 고산에 못지않은 격을 갖췄다.
금정산은 호국의 산으로, 국내 최대 산성인 금정산성(사적 제215호)과 범어사(梵魚寺)를 통해서도 이름 높다. 주봉인 고당봉을 중심으로 북으로 장군봉을 거쳐 양산 다방천까지, 남으로 백양산에 이르기까지 산줄기를 길게 뻗은 금정산은 원효봉, 의상봉, 대륙봉, 상계봉, 파리봉 등 준봉들을 연결한 석성이 쌓여 있어 더 멋지다.
길이 1만7337m, 높이 1.5~3m에 총면적 8.2㎢에 이르는 이 금정산성은 남해안과 낙동강 하구를 통해 침입해오는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것이다. 금정산은 해발 801.5m의 주봉인 고당봉을 중심으로 북으로 장군봉(727m)과 남으로 상계봉(638m)을 거쳐 성지곡 뒷산인 백양산(642m)까지 길게 이어져 있고 그 사이 사이에 원효봉, 의상봉, 미륵봉, 대륙봉 파류봉, 동제봉 등의 준봉을 일구어 놓고 있다.
산세는 그리 크지 않으나 곳곳에 울창한 숲과 골마다 맑은 물이 항상 샘솟고 화강암의 풍화가 격렬하여 기암절벽이 절묘하여 부산이 자랑하는 명산이 되었다. 금정산 부채바위는 부산의 훌륭한 암벽 훈련장으로 많은 코스가 개발 되어있으어 부산 산악인의 요람이 되고 있다.
금정산 이름의 유래는 '동국여지승람', '동래부지' 등에 기록된 전설에 의하면 산정에 돌이 있어 높이 3장 가량이고 물이 늘 차있어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 금빛이 있으므로 금색어가 다섯색깔의 구름을 타고 하늘에서 내려와 그 샘에서 놀았으므로 금정산이라고 일컬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산행코스
• 부산대→고별대→동문→부채바위→북문→금정산(고당봉) (8km, 약 3시간 30분)
• 동래→만덕고개→석불사→상계봉 (7km, 약 2시간)
• 금강공원→남문→상계봉 (6km, 약 2시간)
• 부산대→동문→상계봉 (6km, 약 2시간)
• 범어사→북문→고당봉→북문→범어사 (6.8km)
• 범어사→북문→동문 (6.5km)
• 식물원→동문→북문→범어사
• 금강공원→남문→산성마을→서문→화명동(북구)
• 양산시 동면 가산리 중리마을 정류장~금정암~잇단 철탑~잇단 임도~(410봉)~전망대~흔들바위~산죽길~석문~729봉(주능선)~가산리 마애여래입상~철탑~금샘~금정산 고당봉~금정산장~북문~원효암~의상대~범어사(약 4시간)
■ 금정산 등산(산행)지도
■ 금정산 고담봉 산행기념 사진
'산행자료 > 산행기념 발자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바위 (0) | 2017.01.02 |
---|---|
부산 금정산 고담봉 (0) | 2016.11.21 |
창원 시루봉, 천자봉 기념사진 (0) | 2016.11.13 |
창원 시루봉 천자봉 기념사진 (0) | 2016.11.13 |
내장산 산행기념 (0) | 2016.11.07 |
댓글